git으로 버전컨트롤을 할 때, 저처럼 불필요한 파일들 까지 commit되는 분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스프링부트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분들이 metadata처럼 commit하고 싶지 않은 소스가 올라가곤 합니다. 먼저 이를 해결하기 위해 .gitignore 파일을 생성합니다.
파일 내용은 각자 불필요한 파일, 폴더명을 지정하시면 됩니다. 스프링부트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시는 분은 저를 따라하셔도 됩니다.
이 파일을 git init 명령어로 저장소로 지정한 경로에 저장합니다.
파일이 위치 되면 git bash를 실행시킵니다.
실행시키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원격저장소의 파일을 강제로 삭제시켜줍니다. (로컬 저장소에 있는 파일은 삭제되지 않습니다)
git rm -r --cached .
삭제가 완료되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git add .
add 가 완료되면 git의 현재 상태를 확인합니다.
git status
불필요 파일들이 deleted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commit / push 하시면 불필요 파일이 제외된 repository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git commit -m "불필요 파일 정리 포스팅"
git push -u origin master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Repository 생성 및 소스 올리기 (commit, push) (0) | 2021.09.23 |
---|